앞으로는 해상에서의 화학사고 대응역량이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환경부, 행정자치부, 화학재난방재센터 등 정부기관 간 협업을 통해 해상에서 발생하는 화학사고에 대한 대응역량을 강화하겠다고 5월7일 밝혔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작년 한해 유조선 및 유해화학물질(HNS) 운반선 등 해양오염 고위험 선박 11만여척(전체의 29%)이 입출항 하는 등 해상에서의 유류·화학사고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국민안전처는 현재의 전문인력과 장비, 경험 등의 부족으로 해상에서의 화학사고 대응이 어려운 실정을 극복하기 위해 환경부, 행정자치부 등과 협업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2013년 12월 부산앞바다에서 발생한 유해화학물질 운반선 Maritime Maisie호 사고시 18일 동안 사고선박에서 화재가 지속됐으나 별다른 조치없이 지켜볼 수밖에 없었고 이 선박이 육상으로 접근해 폭발했다면 국가적 재난사태로 확대될 가능성이 짙은 사고였다.

육상의 경우 지난 2012년 9월 구미 불산사고 이후 환경부, 소방, 산자부,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화학재난방재센터를 설치해 전문적 대응시스템을 구축했다.

국민안전처는 3~4월 까지 이러한 육상조직과의 실무협의를 거치고 합동대응훈련을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등 협업을 통해 해상에서 발생하는 화학사고 대응역량을 강화해가고 있으며 국민안전처, 환경부, 행정자치부 등 정부기관 간 협약체결은 5월 말 경에 이뤄질 예정이다.

또 해양경비안전본부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해양오염방제업무 마스터플랜’을 수립 중이다.

작년 한 해 우리나라 해상에서는 세월호, 우이산호, 캡틴반젤리스엘호, 현대브릿지호 등 대형 해난사고 4건을 포함해 연평균 280여건의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교역 규모 세계 9위로, 매년 30만척 이상의 선박이 입출항하고 있고 연안에는 기름, 유해화학물질 저장시설 370여개가 산재해 상시 오염물질 이송작업을 하고 있어 세계에서 해양오염발생위험이 가장 높은 국가로 꼽힌다.

국민안전처는 이번 해양오염방제업무 마스터플랜 수립·추진을 통해 해양오염방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중점추진과제로는 ①범국가적 방제시스템 정립, ②현장 대응역량 강화, ③민간의 방제기능 활성화, ④예방 및 사후관리 기능강화 등 해양오염방제업무에 대한 미래지향적 발전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해양오염방제 분야 국가 R&D 확대를 통해 해양오염사고시 방제작업의 현장 실행력을 높이고 과학적 방제를 실현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현재 미미한 민간의 해양오염방제에 대한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5월 중 해양오염방제업무 마스터플랜이 수립되면 6월부터 각 과제에 대한 세부 이행계획을 마련, 중장기적 업무발전을 추진해 나갈 전망이다.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장 홍익태 치안총감은 “정부기관 중 해양오염방제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은 국민안전처 해양오염방제국이 유일하다”며 “이 조직은 해상에서의 기름 및 유해화학물질사고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익태 본부장은 또 “미래 동북아 오일허브 구축 및 해상 유류물동량의 지속증가 등 내·외적인 여건을 모두 고려할 때 해양오염방제업무는 ‘BLUE OCEAN’”이라며 “해양오염방제업무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