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본부장 홍익태)는 해상에서 상대선박의 해상용선박무전기(VHF : Very High Frequency) 전원이 켜져 있는지 또는 사용하고 있는 채널이 몇 번인지 등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특허 개발했다고 6월3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장치는 해상에서 선박간 원활한 통화가 이뤄지지 않아 국가적 재난으로까지 연결된 해양사고인 허베이스피리트호 충돌사고(2007년 12월7일, 태안해역), 세월호 침몰사고(2015년 4월16일, 진도해역) 등을 교훈삼아 개발하게 된 것이다.

이 사고들은 해상교통관제센터(VTS)와 경비함정에서 해상조난주파수(VHFCH16)에서 수십 차례 호출해도 불구하고 교신에 애로사항이 발생해 대형해상재난이 발생했다.

육상의 도로는 자동차간 원활한 통행을 위해 중앙선을 만들어 자동차간 서로 신호만 지키면 충돌할 경우는 없으나 해상의 상황은 육상과는 사정이 다르다.

해상은 바다 위 육상처럼 선을 그을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선박을 관측하는 레이더상에 상대 선박이 표시돼 호출하더라도 상대방이 아무런 응답하지 않을 경우 소통이 안돼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이 태평양처럼 망망대해의 경우에는 상관이 없으나 좁은 협수로의 경우에는 서로 전화통화가 안돼 사고가 날 수 있다. 즉, 좁은 골목길에서 마주치는 사람과 어깨를 부딪치는 경우와 같다.

그러나 해상에서는 선박간 살짝 부딪치기만 해도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대선박과의 통화는 필수적이다.

상대선박을 아무리 호출해도 응답하지 않으면 속수무책이다. 이러한 답답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상대선박의 전화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해상용선박무전기가 개발된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장비는 현재 선박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을 응용한 것으로 상대 선박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와 해상용선박무전기(VHF)를 합친 개념이다.

선박자동식별장치(AIS)는 실시간 주변의 모든 선박들에게 자선(自船)의 정보를 송신하는데 해상용선박무전기(VHF)의 상태정보를 같이 담아서 발송하면 무전기 전원이 꺼졌는지, 현재 채널 상태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활용해 해상에서 운항하는 선박들이 좀 더 안전하게 운항 할 수 있는 방법을 2년에 걸친 연구 끝에 지난달 국내특허의 성과를 거뒀다.

국민안전처 해양수색구조과 박상춘 과장은 “올해 실효성 검증을 실시하고 관련 규정 개정을 위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회의 개최 시 정식의제로 요청할 계획”이라며 “제품이 상용화 될 수 있도록 7월 중 제품개발 용역과 대한민국 해상치안기관의 국제적 위상제고를 위해 국제특허(PCT)도 병행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