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소방재난본부(본부장 이형철)는 작년 단순한 잠금장치 개방이나 간단한 동물구조의 경우 119출동을 거부할 수 있도록 출동기준을 변경한 결과 동물 관련 구조건수가 절반 가까이 줄어들고 교통사고 구조건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월17일 밝혔다.

경기소방재난본부는 ‘2018년도 경기도 구조활동 분석결과’한 결과, 작년 총 20만1697회 출동, 15만46건을 구조 처리했으며 이를 통해 2만1599명을 구조했다.

2017년 대비 도내 구조출동은 1만176회(5.3%), 구조건수 767건(0.5%) 증가했고 구조인원은 890명(3.9%)이 감소했다.

이를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작년 구조건수 1위는 3만4208건을 기록한 벌집제거로 전체의 22.8%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교통사고가 1만8416건 (12.3%), 동물포획 1만5488건(10.3%), 화재 1만4756건(9.8%)을 차지했다.

2017년과 비교해 보면 벌집제거 건수는 3만5577건에서 3만4208건으로 3.8%, 동물포획은 3만3331건에서 1만5488건으로 53.5%, 잠금장치개방은 1만2894건에서 1만1813건으로 8.4%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교통사고 구조건수는 1만5441건에서 1만8416건으로 19.3% 늘었다.

경기소방재난본부는 이런 변화의 원인으로 생활안전분야 출동기준 변경을 꼽았다.

소방재난본부는 작년 2월 생활안전분야 신고가 119에 접수될 경우 재난종합지휘센터가 신고자의 위험 정도를 ▲긴급 ▲잠재적 긴급 ▲비긴급 등 3가지로 판단해 출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

예를 들면 맹견이나 멧돼지, 뱀 등 위해(危害) 동물이 주택가에 나타나면 소방서에서 출동하지만 너구리나 고라니 등 야생동물이 농수로에 빠지는 등 긴급하지 않은 상황은 의용소방대나 해당시군, 민간단체에서 처리하도록 통보하는 식이다.

이형철 경기소방재난본부장은 “2017년의 경우 전체 구조건수 중 동물(곤충)관련 출동건수가 46%를 차지했지만 작년에는 33.1%로 12.9%가 줄었다”며 “계속되는 생활안전분야 출동요청으로 구조나 화재 활동이 방해를 받는 사례가 발생하기 때문에 출동기준을 바꾼 것인데 어느 정도 성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도내 구조현황을 하루 기준으로 보면 매일 552회 출동해 59명을 구조한 것으로 이는 2.6분마다 출동해 24분마다 1명을 구조한 것이다. 또 10년 전인 2009년 구조건수인 5만859건과 비교하면 195%가 증가한 것으로, 해마다 지속적으로 13.2%씩 증가한 셈이다.

가장 많이 구조출동한 곳은 도농복합지역으로 벌집제거와 동물구조가 많은 용인소방서가 9559회를 기록했으며 화성소방서 9317회, 수원소방서 8631회, 남양주소방서 8348회, 파주소방서 6516회 순이었다.

월별로는 벌들이 기승을 부리는 7월~9월(합계 37%)이, 요일별 구조인원은 토요일과 일요일(합계 30%)이, 성별로는 남성이 1만2569건(59%)으로 여성보다 많았다. 출동에서부터 현장 도착까지의 5분 도착률은 3만7138회(21.6%)로 작년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경기소방재난본부는 작년 특수대응단, 수난구조대 등 총 902명의 구조대원이 구조 활동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