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작년에 지질특성상 자연방사성 함량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국의 화강암계통 지역을 우선 조사대상으로 해 전국 104개 시·군·구 314개 마을상수도 원수 등에 대해 자연방사성물질(우라늄, 라돈 등)의 함유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하수 원수에서 우라늄은 16개 지점(5.1%)이 미국의 먹는물 수질기준(30 μg/L)을, 라돈은 56개 지점(17.8%)이 미국의 먹는물 제안치(4,000 pCi/L)를 초과했다고 8월10일 밝혔다.

자연방사성물질 지질별 함유특성을 조사결과한 결과 우라늄은 흑운모 등을 함유하는 중생대 쥬라기화강암 계열의 지질에서 높았고 라돈은 화강암과 화강편마암 계열에서 높았으며 특히 백악기흑운모화강암지역에서 최고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 우라늄과 라돈의 자연저감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지하수 원수와 꼭지수를 연계해 분석한 결과 우라늄은 원수와 꼭지수에서 농도가 거의 일정해 자연저감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라돈은 원수(4,000pCi/L 이상) 대비 평균 약 30% 이상의 저감율을 보여 음용과정에서 충분한 자연저감 시간을 확보할 경우 노출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장 높은 라돈 노출은 건물 바닥이나 지하실 벽의 갈라진 틈 등을 통한 공기중 유입이며 물에서의 고농도 노출가능성은 낮다. 

환경부는 지난 1998년 대전지역 지하수에서 우라늄이 검출됨에 따라 지하수의 자연방사성물질 실태조사(제1차 1999년~2002년, 제2차 2006년)를 추진했으며 2007년부터 “제3차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 함유실태 조사계획(2007년~2016년)”을 수립해 추진 중에 있다.

지난 1999년 제1차 조사 이후 고함량 지역으로 나타난 문경, 제천, 원주, 김제를 대상으로 정밀조사한 결과 총 160개 지하수 원수(음용 59개, 비음용 101개) 중 우라늄은 6개 지점(3.8%, 음용 2개), 라돈은 26개 지점(16.3%, 음용 11개)이 각각 미국의 먹는물 기준과 제안치를 초과했으나 전알파와 라듐은 미국 먹는물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점은 없었다.

환경부는 고함량으로 나타난 지하수에 대해서는 이를 관할하는 해당 지자체에 통보해 대체 상수도 공급, 저감시설 설치 등의 대책을 추진 중에 있다.

9개 시·도 85개 지점(음용지하수)에 대해 대체 상수도 보급(49개소, 13개는 보급완료), 대체 수원 개발(14개소), 저감시설 설치(19개소), 지속 감시(3개소, 꼭지수 기준이내)를 추진한다.

또 음용지하수의 자연방사성물질로부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2012년 중에는 자연방사성 물질별로 먹는물 수질기준 설정을 검토한다.

이와 함께 여러 가지 저감시설 효율성 평가 연구를 통해 효율적 저감방법에 대해서 제시할 계획이다.

한편, 우라늄 저감은 일반적인 중금속 제거방법(이온교환수지, 응집침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폐기물 발생을 고려할 때 제한적이며 라돈은 반감기(3.82일), 휘발성 특성을 고려할 때 폭기 등으로도 쉽게 저감된다.

- 우리나라 : 우라늄 항목에 대해 먹는물 수질감시항목(30㎍/L)으로 지정(’07.10)
- 외국의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 규제 동향
* 우라늄 : 미국의 경우만 규제기준 설정(30㎍/L, 먹는물 기준)
* 라돈(가이드라인) : 미국(4,000pCi/L), 핀란드(8,100pCi/L), 노르웨이(13,500pCi/L)

※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1994년~2014년), 총사업비 2조1877억원(국고 70%)소규모수도시설 개량사업(2008년~2014년), 총사업비 8686억원(국고 70%)

세이프투데이 한영진 기자(jake@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