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경찰, 소방, 해경 등 재난 관련기 관이 하나의 통신망으로 소통하며 신속하게 현장대응을 할 수 있도록 4세대 무선통신기술(PS-LTE, Public Safety-Long Term Evolution)이 적용된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의 구축을 지난 3월 완료하고 준공 및 개통한다고 5월14일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 대구운영센터에서 5월14일 오후 3시 개최된 준공 및 개통식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를 적용, 온·오프라인을 연계해 준공보고, 기념사, 축사, 개통통화, 테이프커팅 등으로 진행됐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재난 관련 기관별 통신망을 일원화하는 전국 단일 통신망으로, 4세대 통신기술(LTE) 기반으로는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로 구축 및 운영된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사업추진이 결정됐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은 시범사업을 통해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성공적인 운영 경험을 거쳐 2018년 12월 본 사업을 착수했다.

2025년까지 구축 및 운영비를 포함해 총 1조5000여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중부권(2019년 9월), 남부권(2020년 9월) 구축에 이어 2021년 3월 수도권을 완료했다.

구축 기간은 2년3개월이 소요됐고 사업시행 결정 이후 약 6년 10개월 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구축이 진행되는 동안 코로나19 확산, 최장 기간 장마 등 어려움 속에서도 완성의 결실을 맺어 전국 통신망으로 본격적인 운영 및 안정화를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으로 재난 상황에서의 현장 대응력이 높아지게 됐다. 기관별 다른 통신망에서 하나의 통신망으로 기관 간 통신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현장 대응이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재난 관련 기관별로 서로 다른 무선통신망(VHF, UHF, TRS)을 사용해 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이 많았고 기관 간에 상황 공유나 공동 대응이 어려웠으나 고품질의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돼 공동 사용함으로써 해당 문제점이 해결됐다.

전국에 1만7000여 개의 기지국을 구축하고 상용망과 연동을 통해 음영지역을 해소하고 통화품질이 우수해 사용 중인 경찰, 소방 등 사용기관의 만족도가 높다.

최동단 독도에서부터, 백령도, 마라도에 이르기까지 전국망 통신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동시에 통합 지휘할 수 있고 기관 간에 공통통화그룹을 통해 끊김 없이 즉각적인 음성‧영상 통화가 가능하다.

또 10년 이상 경과된 기존 고비용 노후 재난 관련 통신망을 대체하고 행안부가 구축‧운영을 총괄해 기관별 중복투자 방지 및 경제적 유지보수로 인한 예산절감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재난안전통신망은 재난현장에서 사용되는 만큼, 국내 기술역량을 총동원해 통신사인 KT 및 SKT와 장비 제조업체가 협력함으로써 생존성을 최우선으로 다양한 신기술이 도입됐다.

우선, 통신망의 안정성을 위해 운영센터를 서울, 대구, 제주로 3원화 돼 하나의 센터가 멈추거나 특정 센터의 주요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차질 없는 통신망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재난안전통신망(PS-LTE)은 일반 상용망과 달리 △재난현장용 음성·영상 그룹통신(MCPTT ; Mission Critical 서비스를 위한 그룹통신 Push To Talk 기능 △통화폭주 해소를 위해 국내에서 개발한 동시 전송기술(eMBMS ; evolved Multimedia Broadcasting-Multicast Service 통화폭주 해소를 위한 LTE기반 방송기술) 등 재난대응에 특화된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기지국 공유기술(RAN-Sharing)을 도입해 700MHz 대역 공용 주파수(전파)를 사용하는 해상망, 철도망 등 통합공공망과 상호운영성을 확보하고 커버리지를 확대했으며 상용망(KT, SKT)을 백업망으로 구성했다.

또 △무선통신 국제표준화 기술협력 기구인 3GPP에서 제정한 재난안전통신규격(PS-LTE Standard Rel.13)을 준수해 구축했으며 △차세대 주소체계(All-IPv6)를 세계 최초로 도입, 향후 사물인터넷(IoT) 등 업그레이드(Rel.14~15)가 가능하도록 구축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기존 무선통신망에서 불가능했던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등 첨단 ICT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재난안전 분야에서 디지털 뉴딜형 스마트 응용서비스 도입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난대응 작전과 현장요원의 안전을 고려해 현장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드론, 웨어러블 장비로 재난현장 활동을 지원하고 재난현장 정보 제공 및 피해규모 파악, 작전정보 공유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급경사지, 교량, 저수지 등 재난 취약 시설물에 센서를 설치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격관리 등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 고도화가 가능해진다.

치매노인‧미아방지 서비스, 스마트 가로등, 미세먼지 모니터링 등 국민 생활안전을 저해하는 위험요인을 실시간 감지하고 예방‧대응하여 사회안전 문제 해결이 가능하게 됐다.

세계 최초, LTE 기반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은 관련 산업 육성, 해외 수출 확대, 고용 창출 등 경제적·산업적 효과도 큰 것으로 전망된다.

재난망 전체의 설계, 장비설치, 시험준공을 국내 통신사인 KT와 SK텔레콤이 구현했고 주요 장비와 핵심 SW가 삼성전자, 삼성SDS, AM텔레콤, 사이버텔브릿지 등 국내 기업에서 기술개발 및 상용화했다.

더욱이, 재난안전통신망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과 접목한 다양한 응용서비스가 창출되면 통신망뿐만 아니라 디지털 뉴딜 관련 국내 산업 육성 및 장비·기술 수출도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재난안전통신망 단말기는 9만 여대를 사용 중에 있고 기관별 구입계획에 따라 2021년 말까지 15만대 이상 보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용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코로나19 백신 수송에도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군부대와 연락체계를 구축,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해철 행안부 장관은 “지난 3월 수도권 지역의 구축을 마무리하고 세계 최초 재난안전통신망 전국 운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다”며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기본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난안전 응용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업효과를 조기에 가시화하겠다”고 말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