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방재청, 지난 겨울철 자연재난대책 결과 발표 
 
소방방재청(청장 박연수)은 지난 겨울철 기록적인 폭설과 빈발한 강설상황이 있었으나 인명피해 ‘Zero'와 재산피해를 크게 감소하였다고 3월116일 밝혔다.

 ○ 지난 겨울철 피해 : 인명 ‘無’, 재산 228억원(10년평균대비 11%수준)
  ※ 최근 10년 피해평균 : 인명 2.7명, 재산 2,093억원

이렇게 피해가 감소한 원인(성과)을 보면, 지난해 겨울이전 10~11월 기간동안 인명피해 최소화와 취약시설 피해예방을 위해 각급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 공동으로 철저한 사전대비를 적극 추진하였고

 - 비닐하우스 표준규격 확대, 눈쓸기 홍보, 중앙점검 및 미흡사항 보완
 - 산간 고립예상지역(158개마을), 국립공원통제소(257개소) 지정, 특별관리

겨울철 재난기간(12~3월)에는 24시간 작동하는 상황관리 체계를 유지하면서 대설시 신속한 초기대응체계를 가동하였다

 - 예비특보부터 비상근무 가동, 서해안등대(13개소)·CCTV활용 사전상황파악
 - 고속도로·국도·도심 등 실시간 제설 및 교통상황 확인·점검

특히, 1.4일 수도권지역 제설대처시 극심한 교통정체 현상 발생 등을 중심으로 제설 대응체계 전반을 재검토, 6개분야 개선대책을 신속히 마련·추진한 결과 1.4이후 1.14~15일, 2.17~18일, 3.9~10일 등 수도권지역에 여러 차례의 강설시에도 신속한 제설이 이루어졌다고 분석하였다.

 - 강설 3시간전 인력·장비 전진배치(650개소), 제설제 사전살포 등 선제대응
 - 인력·장비 동원체계 재정비, 제설 담당구간지정(160천명)을 통한 책임제설
 - 제설차량 대체 활용을 위한 장착삽날 337개(서울 189, 경기 148) 구입·활용
 - 제설자재 부족분 긴급확보, 취약구간 월동장구 미 장착차량 통행제한
 - 자동염수분사장치 설치 확대, 지역별 맞춤형 제설지침 마련·활용

한편, 강원도의 경우 1m가 넘는 기록적 폭설에도 민·관·군이 총력 협력하는 제설대처 역량을 발휘해 귀감이 되었다.

 - 설연휴 귀성길에 민관군 인력·장비 총력 대응, 교통소통 원활유지
 - 국도 42호 백봉령에 140cm 강설에도 차량통행 조치 등 적극대처
 - 이러한 상황에도 재산피해(18억원)를 최소화하는 성과를 이룸

지난 겨울철 우리나라의 기상을 보면
 ○ 연말연시, 설 명절 연휴 등 교통이동이 많은 기간에 잦은 폭설
  - 서울 1.4일 25.8cm(73년만 최고), 3.10일 13.5cm(6년만 3월 최고)
  - 2.10~13일 고성105cm, 양양 면옥치 172㎝, 대관령 109cm
  - 3.8~10일 대관령 110.1cm, 강릉 37cm, 속초 36cm
  ※ 3.10일 대구 9.5cm(53년만 3월 최고), 부산 5.4cm('05년 이후 최고)
 ○ 서울 적설량은 54.8cm로 전년(’08년 10.9cm)보다 5배 수준
  - 전국 평균 40.1cm(평년대비 7.6cm증), 강설일수 18.5일(2.3일 증)
  - 전국적 대설특보는 144회(주의보 106, 경보 38), 전년 대비 1.5배
 ○ 수도권을 비롯한 중부지역은 기상예보 적설량을 초과하는 기습 강설 빈발
  - 1.3일 예보 : 수도권 2~7cm, 많은 곳 10cm 이상 ⇒ 1.4일 서울 28.5cm
  - 3.9일 예보 : 서울·경기·충청 5~8cm ⇒ 3.10일 서울 13.5cm 적설
 ○ 전국 평균 강수량은 106mm로 평년(82.9mm)대비 128%
 ○ 전국 평균 기온은 -0.1℃로 평년(0.3℃)보다 0.4℃ 낮았음
  ※ 서울 일 최저기온 -10℃ 이하인 날이 17일로 평년보다 5.8일이 많았음

앞으로, 대설에 대한 대응능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제설방안 활용하고, 자동염수분사장치 설치 확대 등 제설장비 선진화를 지속 추진하는 한편 지방자치단체 제설책임 강화, 주민의 적극적 제설 동참 방안 등 제도개선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소방방재청은 겨울철 대책기간이 종료되는 다음날(3.16일)부터 연이어 여름철을 대비한 사전대비기간(3.16~5.14)을 정하여 작동하는 방재, 한발 빠른 대응에 주안을 두고 올 여름철 풍수해에 적극 대비한다고 밝혔다.
 - 전국의 인명피해 우려지역 마을(1,600개마을) 이장을 현장재난관리관으로 임명하여 현장 밀착형 상황관리 체계 구축·운영
 - 산간계곡 자동경보시설, 시군구 우량계, CBS, DMB 등 예·경보 시설을 우기전 중점 점검·정비하여, 상시 작동체계를 유지
 - 급경사지 등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취약지역 집중 점검·정비 및 특별관리를 실시하고 주민대피 담당자를 사전지정 등 책임화
 - 응급복구 장비 점검·정비 등 재난대비 물자·자재·장비의 비축·관리 및 동원 준비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