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재해, 안전, 위기, 위험, 사고 등 긴급을 요하는 국민이 관련 신고번호를 모를 경우 ‘119’로 전화하면 긴급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119 안전서비스’가 오는 7월1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다.

행정안전부는 국민생활 관련 각종 신고전화가 기관별, 유형별로 개설 운영하기 때문에 일반국민이 신고번호를 기억하기도 곤란하고 활용할 때도 많은 불편이 초래하고 있어 오는 7월1일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수도, 환경, 의료정보, 성폭력, 가스 등 재난, 사고 관련 11종의 긴급신고번호를 119로 통합, 연계할 방침이라고 3월18일 밝혔다.

이번에 통합 연계되는 긴급신고전화번호는 121(수도), 128(환경), 1339(의료정보), 1366(성폭력), 1388(청소년폭력), 1544-4500(가스), 회사번호(지역도시가스), 1577-0199(자살), 1577-1389(노인학대), 1577-1391(아동학대), 1588-3650(재난) 모두 11종이다.

행정안전부는 기존 해당기관별 대표번호는 그대로 유지, 운영하고 기반을 갖춘 시도부터 순차적으로 공표․개통할 예정이고 우선 실시하는 지자체에는 표창 및 상금 수여로 경쟁도 유도할 방침이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예산이 부족하고 관련 전산시스템의 현황도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번 사업과 관련해서 행정안전부 차원에서 전국 16개 시도에 ‘통합신고전화 시스템’ 설치 지원을 위한 특별교부세 3억원씩의 예산을 빠르면 이번주 늦어도 다음주까지 교부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16개 시도 재난, 재해, 안전, 위기관리 전산 시스템과 관련돼 있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통합 발주를 할 것인지 아니면 16개 시도 별로 자체 발주할 것인지가 첨예한 관심사였다.

또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를 분리 발주할 것인지의 여부도 관심사였다. 분리 발주할 경우 관련 예산이 40억원을 넘지 못할 가능성이 많았다.

민감한 부분은 통합 발주할 경우 사업 예산이 40억원을 넘어 삼성SDS, LG CNS, SK C&C 등 대형 IT(정보기술)서비스 기업들도 입찰에 참여할 수 있지만 관련 예산이 40억원 미만이면 중소 IT서비스 기업들만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는 4월1일 공식 오픈할게 될 행정안전부 ‘재난위기종합상황실’과 소방방재청 ‘재난종합상황실’, 소방방재청 ‘소방상황실’의 ‘통합상황실’도 결국 통합 발주돼 입찰 결과 LG CNS가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실 박은실 사무관은 “행정안전부는 기본방향 제시, 소요예산 확보, 인력 증원 등을 담당하고 소방방재청은 시스템 설치지원, 운영체계 등을 마련하고 16개 시도는 시스템 설치, 119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게 된다”며 “지난 1월 시도 소방상황실 및 연계기관 업무협의를 완료했고 이달 중으로 시스템 분석, 시스템 설치․운영계획 수립, 119 종합상황실 운영규정, 신고전화 처리 매뉴얼, DB구축 등을 마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은실 사무관은 또 “사업 발주예산은 49억6000만원이고 사업 발주 형태는 통합 발주키로 합의됐고 프로그램 개발, 시스템 설치사업 발주는 이달 중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